본문 바로가기
방송대사회복지★/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사회복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1강 정리 (2)

by 커리밥알 2024. 12. 17.
반응형
SMALL

 

11강  건강한 성격, 스트레스와 적응 

: 프로이트, 융, 에릭슨, 로저스, 매슬로, 올포트, 프랭클이 제시한 건강한 성격 -1

 

 

< 프로이트 가 제시한 건강한 성격이란?>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성격을 id(본능적 욕구), ego(자아), superego(초자아) 라는 세 가지 구성 요소로 설명하였다.  프로이트가 제시한 건강한 성격의 핵심은 이 세 요소의 균형조화로운 상호작용 이다

1. 자아(Ego)의 적응 능력

  • 프로이트는 자아(ego)가 현실을 인식하고, id의 본능적 욕구와 superego의 도덕적 요구 사이에서 균형을 잡으며 현실적이고 적응적인 결정을 내리는 것이 건강한 성격의 핵심이라고 보았다. 자아는 개인이 사회에서 잘 적응하도록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실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이에 맞는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한다.
  • 건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자아가 id와 superego의 요구를 적절히 조정하면서 현실 세계에 잘 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능적 충동이 강하게 일어나더라도 이를 사회적 규범에 맞게 통제하는 능력을 가진다.

2. id와 superego의 균형

  • id는 본능적인 충동과 욕망을 나타내며, 즉각적인 만족을 추구한다. 반면, superego는 내면화된 도덕적 규범과 사회적 기준을 나타내며, 이를 따르도록 강하게 요구하게된다.
  • 건강한 성격은 id의 충동을 지나치게 억제하지 않으면서도, superego의 도덕적 요구와 갈등을 적절히 해결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즉, 자아가 두 요소의 균형을 맞추며, 비합리적이거나 과도한 충동이나 강박적인 도덕 규범에 지배되지 않도록 한다.

3. 자기 방어 기제의 적절한 사용

  • 프로이트는 사람들이 심리적 갈등을 처리하기 위해 자기 방어 기제(defense mechanisms)를 사용한다고 설명하였다. 건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이러한 방어 기제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스트레스나 불안을 처리한다. 예를 들어, 합리화억제와 같은 방어 기제를 통해 감정을 조절하고 갈등을 해결할 수 있다.
  • 그러나 방어 기제를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비현실적으로 사용할 경우 성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건강한 성격은 이러한 기제를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고, 현실적인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다루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4. 성숙한 정신적 적응

  • 프로이트는 정신적 성숙을 자아의 기능이 잘 발휘되는 상태로 보았다. 즉, 건강한 성격은 사회적 요구와 개인적 욕구 사이에서 균형을 잘 맞추는 사람을 의미한다. 또한, 정신적으로 성숙한 사람은 충동을 억제할 수 있고, 자기통제가 가능하며,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5. 리비도와 성적 충동의 적절한 통제

  • 프로이트는 성적 에너지인 리비도가 인간 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건강한 성격은 리비도를 적절히 통제하고, 이 에너지를 사회적으로 수용 가능한 방식으로 발산하는 사람을 뜻한다. 성적인 욕구가 지나치게 억제되거나 과도하게 발산되는 것 모두 비정상적이라고 보았다.
 
 
< 칼융이 제시한 건강한 성격이란 ? >
 
 

칼 융(Carl Jung)은 성격 발달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제시했으며, 건강한 성격개인화(Individuation) 과정의 결과로 보았다. 개인화란, 사람들이 자신을 이해하고 내면의 다양한 측면을 통합하여 자기 자신을 완전히 실현하는 과정이다. 

1. 개인화(Individuation)의 완성

  • 개인화란, 인간이 자신의 내면에 존재하는 여러 대립적인 성격 요소들을 통합하여 전체적인 자아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이는 인간이 외부와 내면의 갈등을 해결하고, 자신을 깊이 이해하며, 진정한 자아를 찾는 여정이다.
  • 융은 사람들이 각자의 내면에 그림자, 자기, 아니마/아니무스(심리적 성격의 이성적 측면)와 같은 다양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건강한 성격은 이러한 대립적인 측면들이 조화를 이루고 통합된 상태로, 자신에 대한 진정한 이해와 자기 실현을 이룬 사람에게 나타난다.

2. 그림자(Shadow)의 통합

  • 그림자는 인간이 의식적으로 인정하거나 받아들이기 어려운 부정적인 성격의 측면을 의미한다. 건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그림자와 마주하고 이를 인정하며 통합하려는 노력을 한다. 그림자를 억누르지 않고 이해하려는 과정이 바로 개인화의 중요한 부분이다.
  • 예를 들어, 분노, 질투, 욕망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들을 억제하는 대신, 이를 인식하고 건강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

3. 자기(Self)의 실현

  • " 자기(Self)" 는 융의 이론에서 인간의 통합된 자아를 나타내는 핵심적인 개념이다. 자기란, 인간이 자신의 내면적 대립을 조화시켜 이루어지는 전체적이고 완전한 자아를 말한다. 건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자기의 실현을 통해, 더 넓은 존재로서 자신을 인식하고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온전한 존재감을 발휘한다.
  • 이 과정을 통해 사람은 외적인 역할을 넘어서 내적인 진정성과 일치를 이루게 된다.

4. 아니마와 아니무스의 통합

  • 아니마는 남성의 내면에 존재하는 여성적 측면, 아니무스는 여성의 내면에 존재하는 남성적 측면이다. 융은 건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이러한 성별의 반대 성격을 통합하여, 보다 균형 잡힌 자아를 형성한다고 보았다.
  • 예를 들어, 남성은 내면의 여성성을 받아들이고, 여성은 내면의 남성성을 받아들여 자신의 성격에 더욱 풍부하고 다채로운 특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5. 집단 무의식과 상징적 삶

  • 융은 집단 무의식이라는 개념을 제시하며, 모든 인간이 공통으로 경험하는 원형(archetype)들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건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이러한 원형을 이해하고, 이를 삶에 적용하여 상징적인 삶을 살아간다.
  • 예를 들어, "영웅"의 원형, "어머니"의 원형 등을 통해 인간은 자신의 삶에서 중요한 의미와 방향을 찾고, 그에 맞는 삶의 목표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상징적 존재로서 살게 된다.

6. 성숙과 균형

  • 융은 성격이 계속해서 발달하는 과정이라고 보았고, 특히 성숙한 나이에는 자아와 자기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는 나이가 들수록 내적 갈등을 해결하고 자아의 통합을 이루는 과정이 성격의 성숙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 성숙한 사람은 자신의 과거와 현재를 받아들이며, 자신이 경험한 내적 갈등을 성장의 기회로 삼고, 보다 의미 있고 균형 잡힌 삶을 살아간다.

7. 자기 실현과 창의성

  • 융은 자기 실현이란, 인간이 자신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건강한 성격은 자기 실현을 통해 창의적이고 독립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하며, 자신만의 고유한 방식으로 삶의 의미를 찾아 나가는 사람이다.
  • 창의성은 자신을 탐구하고 내면의 대립된 요소들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발현된다. 이는 예술적 표현이나 직업적 성취를 통해 나타날 수 있다.

 

< 에릭 에릭슨 (Erik Erikson)이 제시한 건강한 성격이란?>

 

에릭 에릭슨(Erik Erikson)은 성격 발달을 발달적 위기(psychosocial crises)라는 개념을 통해 설명하며, 건강한 성격이란 각 발달 단계에서의 위기를 잘 해결하고 성숙한 자아를 확립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는 성격 발달이 일생에 걸쳐 지속적이며, 각 단계에서 해결해야 할 심리적 위기가 있다고 믿었으며, 에릭슨의 이론에서 건강한 성격의 특징은 각 단계에서 위기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고, 긍정적인 자아 정체성과 사회적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에릭슨이 제시한 건강한 성격의 핵심 요소

1. 자아 정체성 (Identity)

  • 건강한 성격의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자아 정체성(identity)의 확립이다. 에릭슨은 특히 청소년기(12세~18세)에서 자아 정체성의 확립을 중요한 발달 과제로 보았다. 건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자신이 누구인지, 어떤 가치를 중요하게 여기는지, 미래에 대한 목표를 확립하며 자기 자신에 대한 확신을 가진다.
  • 자아 정체성이 잘 확립된 사람은 타인과의 관계에서도 자신감을 가지고, 사회적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2. 긍정적인 자아 존중감

  • 에릭슨은 자아 존중감(ego integrity)을 강조하였다. 건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자신을 긍정적으로 보고,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받아들이며, 실패나 실수도 성장의 일부로 인식한다. 이 " 자아 존중감 "은 삶의 여러 경험을 통해 쌓이며, 어린 시절부터 청소년기까지의 경험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예를 들어, 유아기(01세)에서의 신뢰감, 아동기(612세)에서의 능력과 성취감은 자아 존중감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3. 사회적 관계에서의 적응

  • 에릭슨은 성격 발달이 단순히 개인적인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건강한 성격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적응하고,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과 성숙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한다.
  • 예를 들어, 청소년기에는 친구들과의 관계를 통해 자아 정체성을 확립하고, 성인기(19~40대)에는 안정적인 직장과 결혼 생활을 통해 성숙한 사회적 역할을 수행한다.

4. 위기 해결 능력

  • 에릭슨은 성격 발달을 여러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마다 해결해야 할 중요한 심리적 위기가 있다고 보았다. 건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이러한 위기를 적절히 해결하고, 그 과정을 통해 성숙해진다.
  • 예를 들어, 유아기에서는 신뢰 대 불신(trust vs. mistrust), 아동기에서는 근면성 대 열등감(industry vs. inferiority), 청소년기에서는 정체성 대 역할 혼란(identity vs. role confusion)을 해결해야 한다. 각 위기를 성공적으로 해결하면, 이후 단계에서 건강하게 적응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

5. 발달 단계의 순차적 완성

  • 에릭슨은 인간의 성격 발달을 8개의 단계로 나누었으며, 각 단계에서 해결해야 할 심리적 위기가 있다하였다. 건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각 단계에서의 위기를 잘 해결하고, 이를 통해 성격이 점진적으로 발전한다고 보았다.
  • 예를 들어, 중년기(40~65세)에서는 생산성 대 침체(generativity vs. stagnation)를 해결하며, 노년기(65세 이상)에서는 자아 통합 대 절망(integrity vs. despair)이라는 위기를 경험한다. 각 단계에서의 위기 해결이 인생의 만족감과 성숙을 좌우한다.

6. 사회적 책임과 기여

  • 특히 중년기에는 생산성기여에 대한 욕구가 중요한 위기가 된다. 에릭슨은 건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은 다음 세대에게 가르침을 주고, 사회에 기여하는 것을 중요시한다고 보았다. 이들은 가족, 직장, 지역사회에서의 역할을 통해 타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 건강한 성격은 자신의 경험과 자원을 사회적 맥락에서 잘 활용하며, 세대 간의 연결을 강화하는 능력도 포함된다.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