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영상 강의의 학습개요와 학습목표 정리하기를 따로 모아 작성한 글
12강 부적응행동의 개념과 유형
<학습개요>
이번 강의에서는 부적응행동의 개념 및 모형, 부적응행동의 분류 및 진단에 대해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부적응행동의 개념을 알아보고, 부적응행동에 대한 일반적인 5가지 준거들(평균으로부터의 일탈, 이상으로부터 일탈, 주관적인 고통, 사회적 기준으로부터의 일탈, 행동의 역기능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부적응행동 모형의 의미를 알아보고, 부적응행동에 대한 생리학적·정신분석적·행동주의적·인지적·인본주의 모형을 살펴본다. 또한 부적응행동 진단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DSM-5에서 제시하는 정신장애 중 신경발달장애, 불안장애, 강박 및 관련 장애, 성격장애를 살펴본다.
<학습목표>
- 부적응행동의 개념을 이해하고, 부적응행동에 대한 일반적인 5가지 준거들을 설명할 수 있다.
- 부적응행동 모형의 의미를 이해하고, 부적응행동에 대한 생리학적·정신분석적·행동주의적·인지적·인본주의 모형의 특징과 한계점을 설명할 수 있다.
- 부적응행동 진단의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DSM-5에서 제시하는 정신장애 중 신경발달장애, 불안장애, 강박 및 관련 장애, 성격장애를 설명할 수 있다.
<정리하기>
- 부적응행동에 대한 준거
・ 평균으로부터의 일탈
・ 이상으로부터 일탈
・ 주관적인 고통
・ 사회적 기준으로부터의 일탈
・ 행동의 역기능성 - 부적응행동의 모형
・ 본질, 원인, 해결방안
・ 생리학적 모형, 정신분석적 모형, 행동주의적 모형, 인지적 모형, 인본주의 모형 - 부적응행동의 분류 및 진단
・ DSM-5의 부적응행동 분류
・ 심리평가기법, 생물학적 평가기법
<평균으로부터의 일탈>
부적응 행동에 대한 준거에서 평균으로부터의 일탈은 특정 행동이 일반적인 사회적 또는 심리적 평균에서 얼마나 벗어나는지를 평가하는 기준을 말한다. 즉, 사회나 문화 내에서 일반적으로 허용되거나 기대되는 행동에서 벗어난 정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 기준은 정상적인 행동 범위와 비정상적인 행동 범위를 구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1. 평균으로부터의 일탈 개념
"평균으로부터의 일탈"이란, 특정 행동이나 특성이 사회적 평균이나 통계적 평균에서 얼마나 벗어나는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잘 수행하는 행동이나 감정 상태가 있을 때, 그 평균에서 크게 벗어난 행동은 부적응적이라고 간주될 수 있다. 이를 통계학적으로 보면, 평균과의 차이를 " 일탈(deviation) " 이라고 하며, 이를 통해 정상 범위와 비정상 범위를 정의할 수 있다.
2. 부적응 행동에서 평균으로부터의 일탈의 의미
부적응 행동을 평가할 때, 평균으로부터의 일탈은 행동이 얼마나 극단적이거나 사회적으로 부적절한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대다수 사람들이 경험하는 일상적인 스트레스나 우울증 정도와 비교했을 때, 비정상적으로 심한 우울증이나 심각한 불안은 평균으로부터 일탈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일탈이 부적응적 행동의 중요한 지표가 된다.
3. 평균으로부터의 일탈을 평가하는 방식
- 사회적 평균: 특정 행동이 사회에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범위 내에 있는지, 아니면 그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평가한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사회 규범에 맞는 행동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은 부적응적 행동으로 간주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폭력적이거나 공격적인 행동은 대다수 사람들이 기대하는 행동 기준에서 벗어나느 것이다.
- 심리적 평균: 심리학적으로, 특정 감정이나 정신 상태가 평균 범위 내에서 벗어나는 정도를 평가한다. 예를 들어, 극도의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는 일반적인 사람들의 감정적 경험 범위를 크게 벗어난다고 할 수 있다.
4. 부적응 행동에서 평균으로부터의 일탈의 예
- 과도한 불안: 대부분의 사람들은 스트레스나 걱정을 경험하지만, 그것이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한 정상 범위에 속한다. 그러나 심각한 불안장애나 공황 발작처럼 극단적인 불안은 사회적, 기능적 장애를 일으키며, 이는 평균에서 크게 일탈하는 행동으로 부적응적이다.
- 우울증: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슬픔을 느낄 수 있지만, 극단적인 우울증이나 자살 충동은 그 범위를 벗어나며, 이는 심각한 일탈로 간주된다.
- 행동적 일탈: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은 법과 규범을 지키며 살아갑니다. 그러나 법을 위반하거나 사회적 규범을 심각하게 무시하는 행동(예: 폭력, 절도, 범죄 행위 등)은 평균으로부터의 큰 일탈로 볼 수 있다.
5. 평균으로부터의 일탈의 중요성
부적응 행동을 정의하고 평가하는 데 있어 평균으로부터의 일탈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람들의 행동이나 심리적 상태가 통계적 평균을 얼마나 벗어나는지, 또는 사회적 규범에서 얼마나 벗어나는지를 통해 부적응적 행동을 정의하고, 이를 치료하거나 개입해야 할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의 일탈>
부적응 행동에 대한 준거에서 " 이상으로부터의 일탈 " 은 특정 행동이나 특성이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정상적인 행동이나 상태에서 얼마나 벗어나는지를 평가하는 기준이다. 여기서 "이상"이란 사회적 규범, 심리적 건강, 또는 기능적 기대에 부합하는 이상적인 상태나 행동을 의미하며, 이와의 차이를 일탈(deviation)이라고 부르게 된다. 이상으로부터의 일탈은 그 행동이 정상적인 범위를 벗어난 정도, 즉 과도하거나 비정상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것 이다.
1. "이상"의 정의
부적응 행동을 평가할 때, " 이상 " 은 여러 맥락에서 다르게 정의될 수 있습니다:
- 사회적 기준에서의 이상: 대부분의 사회에서 기대되는 행동, 규범 또는 가치에 부합하는 상태나 행동을 이상적인 상태로 간주한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법을 지키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며, 정상적인 감정 상태를 유지한다고 가정했을때, 그 범위를 벗어나는 행동은 이상으로부터의 일탈로 간주될 수 있다.
- 심리적 기준에서의 이상: 심리학적으로는, 정상적인 정신 건강 상태를 이상적인 기준으로 삼는다. 예를 들어,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들은 이러한 상태가 심리적 이상으로 간주될 수 있다.
- 기능적 기준에서의 이상: 개인의 일상적 활동이나 사회적 역할 수행에서 기대되는 기능적 수준이 이상적인 기준이다. 예를 들어, 정상적인 범위 내에서 일상적인 활동을 잘 수행하는 것이 이상적인 상태로, 그 범위를 벗어나면 부적응적 행동으로 판단될 수 있다.
2. 이상으로부터의 일탈이란?
이상으로부터의 일탈은 이러한 이상적인 상태나 기준에서 과도하게 벗어난 행동을 나타낸다. 즉, 이상적인 행동이나 상태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행동으로, 비정상적인 방식으로 나타나는 특징을 가진다.
- 심리적 이상: 극단적인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는 정상적인 감정 상태나 정신적 건강 기준에서 벗어난 일탈로 간주될 수 있음.
- 행동적 이상: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행동 범위를 넘어서서, 예를 들어 자기 통제를 상실한 폭력적 행동이나 비윤리적 행동은 이상으로부터의 일탈로 볼 수 있다.
3. 이상으로부터의 일탈의 예시
- 과도한 불안: 일반적인 스트레스나 불안을 넘어서, 심각한 불안 장애가 있는 경우 이는 정상적인 범위에서 벗어난 일탈로 간주된다.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불안은 정상적이지만, 이를 초과하는 과도한 불안은 비정상적이고 부적응적인 행동으로 평가될 수 있다.
- 극단적인 우울증: 정상적인 슬픔이나 좌절은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는 감정이지만, 심각한 우울증은 그 범위를 넘어서는 일탈이다. 자살 충동이나 기능 장애를 유발하는 정도의 우울증은 이상으로부터의 큰 일탈로 볼 수 있다.
- 사회적 규범을 무시한 행동: 법적, 도덕적 규범을 심각하게 위반하는 행동 (예: 범죄, 폭력 등)은 이상적인 사회적 행동 기준에서 벗어난 일탈로 간주된다.
4. 이상으로부터의 일탈의 중요성
- 심리적 건강 평가: 사람들이 정상적인 범위를 넘어서서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일 때, 이는 치료가 필요한 부적응적 행동으로 간주될 수 있다.
- 사회적 기능: 사람들의 행동이 사회적 규범이나 기대에서 벗어나면, 그들은 사회적 기능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적 부적응이 나타날 수 있다.
- 개입의 필요성: 이상으로부터의 일탈이 큰 경우, 전문가들은 이를 치료하거나 개선하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5. 이상으로부터의 일탈을 평가하는 기준
- 빈도와 정도: 행동이나 상태가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범위에서 얼마나 자주, 얼마나 심각하게 벗어나는지를 측정한다.
- 기능 장애: 일탈이 개인의 사회적, 직업적, 가족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 심리적 고통: 개인이 겪는 심리적 고통의 정도도 일탈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된다.
<주관적인 고통>
부적응 행동에 대한 준거에서 " 주관적인 고통 " 은 개인이 경험하는 심리적, 감정적 고통을 기준으로 부적응 행동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여기서 " 주관적 " 이라는 말은, 고통이 객관적으로 측정될 수 없는 개인적인 경험에 근거한다는 뜻이된다. 즉, 누군가가 느끼는 고통은 외부에서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없지만, 그 사람이 그 고통을 어떻게 느끼고 표현하는지가 중요하다.
1. 주관적 고통의 의미
부적응 행동을 평가할 때, 주관적 고통은 그 사람이 경험하는 내적인 고통, 즉 정서적, 정신적 고통을 포함하게 된다. 이는 불안, 우울, 스트레스, 절망감과 같은 감정적 경험으로 나타날 수 있다. 사람은 자신이 겪는 고통을 주관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표현하는데, 그 고통이 지나치거나 장기적일 경우 부적응 행동으로 간주될 수 있다.
2. 주관적 고통의 특성
- 개인적인 경험: 주관적 고통은 각 개인의 내적인 경험에 기초한다. 같은 상황에 처한 사람이라도 고통을 느끼는 정도와 방식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같은 문제를 겪더라도 한 사람은 큰 고통을 느끼고, 다른 사람은 그렇게 느끼지 않을 수 있다.
- 감정과 신체적 반응: 주관적 고통은 감정적으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신체적 증상으로도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안은 신체적으로 심장 두근거림, 땀, 떨림과 같은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 장기성과 강도: 고통의 강도와 지속 시간은 주관적 고통의 중요한 요소이다. 단기적인 스트레스는 일반적으로 일상적인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지만, 장기적이고 강한 고통은 부적응적인 행동을 유발할 수 있다.
3. 주관적 고통과 부적응 행동
부적응 행동은 대체로 주관적인 고통을 동반하는데, 고통이 지속적이거나 심각할 경우, 개인은 이를 적절하게 처리하거나 대처하지 못하고 비적응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다.
- 우울증을 겪는 사람은 깊은 절망감을 느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부족하거나, 때로는 자해나 자살 시도와 같은 부적응적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
- 불안장애가 있는 사람은 지나치게 걱정하거나 사회적 상황에서 회피하는 행동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행동은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기능을 방해할 수 있으며, 사회적, 직업적 기능 저하를 초래할 수 있다.
- 강박증을 겪는 사람은 반복적인 의심과 행동을 통해 내적인 고통을 줄이려 하지만, 이는 실제로는 고통을 해결하는 방법이 아니며, 부적응적이다.
4. 주관적 고통의 평가
주관적 고통을 평가하는 방법은 주로 개인의 자기 보고에 의존한다. 사람들이 자신의 감정, 고통, 불안 등을 평가하고 이를 보고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자기 보고는 주관적 경험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며, 이를 통해 부적응 행동을 인식할 수 있다.
- 심리 평가 도구: 심리학자들은 종종 설문지나 인터뷰를 통해 개인이 경험하는 고통을 평가한다. 예를 들어, 우울증 척도, 불안 척도 등을 사용하여 개인의 주관적인 고통 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
- 행동 관찰: 때로는 개인의 행동을 관찰함으로써 주관적 고통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회적 회피나 반복적인 행동 등이 고통을 느끼는 방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
5. 주관적 고통의 중요성
부적응 행동을 평가할 때 주관적 고통은 중요한 준거가 된다. 이는 그 사람이 경험하는 내적 경험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개입과 치료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관적인 고통을 무시하거나 과소평가할 경우, 부적응 행동의 진짜 원인이나 문제를 놓칠 수 있다.
6. 예시
- 우울증: 우울증을 경험하는 사람은 지속적인 슬픔, 절망, 무력감을 느끼며, 이러한 고통은 그 사람의 일상적인 활동을 방해하고 사회적, 직업적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 불안장애: 지속적인 불안감을 느끼는 사람은 사회적 상황에서의 회피나 과도한 걱정을 하며, 이는 일상 생활의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 스트레스 반응: 일시적인 스트레스도 주관적 고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적절한 대처 방법이 부족할 경우 부적응적인 행동을 초래할 수 있다.
'방송대사회복지★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2강 정리 -3 (14) | 2024.12.22 |
---|---|
[사회복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2강 정리 -2 (26) | 2024.12.21 |
[사회복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1강 정리 (4) (12) | 2024.12.19 |
[사회복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1강 정리 (3) (16) | 2024.12.18 |
[사회복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1강 정리 (2) (14) | 2024.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