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강 부적응행동의 개념과 유형
<부적응행동의 분류및 진단>
- DSM-5의 부적응행동 분류
DSM-5 (정신 질환의 진단 및 통계 매뉴얼, 제5판)는 정신질환을 분류하고 진단할 때 사용하는 주요 기준서이다. 부적응 행동은 DSM-5에서 여러 정신 질환의 증상으로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행동은 개인의 일상적인 기능을 방해하거나 심각한 심리적, 사회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DSM-5는 부적응 행동을 다양한 정신 질환과 장애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으며, 이러한 행동은 각 장애의 핵심 증상 또는 특징으로 나타난다.
1. 부적응 행동의 분류 (DSM-5)
DSM-5는 부적응 행동을 다음과 같은 여러 범주로 분류하는데, 이 분류는 증상과 행동의 특성에 따라 나뉘게 된다.
1.1 기분 장애 (Mood Disorders)
- 주요 우울 장애 (Major Depressive Disorder):
- 지속적인 우울한 기분, 흥미 상실, 피로, 절망적인 사고 등으로 일상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로 인해 부적응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
- 양극성 장애 (Bipolar Disorder):
- 극단적인 기분 변화를 경험하며, 조증과 우울증이 번갈아 나타날 수 있다. 조증 시에는 과도한 자신감, 충동적인 행동, 지나치게 활동적인 경향 등이 부적응적인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
1. 2 불안 장애 (Anxiety Disorders)
- 범불안장애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 지속적인 과도한 걱정과 불안이 주요 특징이다. 이로 인해 회피 행동이나 불안한 생각이 부적응 행동으로 나타날 수 있다.
- 공포증 (Phobias):
- 특정한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과도한 두려움으로 인해 회피 행동을 보이며 일상적인 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다.
- 사회 불안 장애 (Social Anxiety Disorder):
- 사회적 상황에서 과도한 불안을 느끼며,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피하려는 부적응적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
1. 3 충동 조절 및 파괴적 행동 장애 (Disruptive, Impulse-Control, and Conduct Disorders)
- 행동 장애 (Conduct Disorder):
- 타인에게 해를 끼치는 공격적이고 파괴적인 행동을 보이며, 법적 문제나 사회적 관계의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 충동 조절 장애 (Impulse-Control Disorders):
- 충동적인 행동을 제어하지 못하며, 예를 들어 병적 도박이나 폭식증 등이 포함됩니다. 충동을 제어하지 못해 부적응적인 행동을 반복할 수 있다.
1. 4 신경 발달 장애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 주의 집중의 어려움, 과잉 행동, 충동적인 행동 등이 일상적인 기능에 방해가 될 수 있다.
- 자폐 스펙트럼 장애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서의 어려움, 반복적이고 제한된 행동 패턴으로 인해 부적응적인 행동을 보일 수 있다.
1. 5 섭식 장애 (Feeding and Eating Disorders)
- 신경성 식욕부진증 (Anorexia Nervosa):
- 비정상적으로 체중을 줄이려는 강한 욕구와 식사 제한으로 인한 부적응 행동이 나타난다.
- 신경성 폭식증 (Bulimia Nervosa):
- 과식 후 자기 유발적인 구토나 과도한 운동 등 부적응적인 행동을 반복한다.
- 폭식 장애 (Binge Eating Disorder):
- 과도한 양의 음식을 반복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특징이며, 이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1. 6 정신병적 장애 (Psychotic Disorders)
- 조현병 (Schizophrenia):
- 사고, 감정, 행동에서의 심각한 왜곡이 나타나며, 현실과의 분리가 주요 특징. 환각, 망상, 사고의 혼란 등이 부적응적인 행동을 초래할 수 있다.
1. 7 스트레스 관련 장애 (Trauma and Stressor-Related Disorders)
-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 심각한 외상 경험 후 불안, 회피, 과민 반응 등의 부적응적인 행동이 나타날 수 있다.
1. 8 중독 및 물질 관련 장애 (Substance-Related and Addictive Disorders)
- 알콜 사용 장애 (Alcohol Use Disorder):
- 알콜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해 사회적, 직업적 및 심리적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행동.
- 약물 사용 장애 (Substance Use Disorder):
- 특정 약물의 사용으로 인해 부적응적인 행동을 지속하는 상태.
2. 부적응 행동의 진단 기준 (DSM-5)
DSM-5에서 부적응 행동을 진단하기 위한 기준은 각 질환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부적응 행동은 개인의 사회적 기능, 직업적 기능, 학업적 성과 등에서 심각한 방해를 초래하며, 증상이 일정 기간 지속되는 경우에 진단된다.
주요 진단 기준 예시:
- 우울 장애: 우울한 기분, 흥미 상실, 체중 변화, 수면 문제, 피로감, 자살에 대한 생각 등이 2주 이상 지속될 경우
- 범불안장애: 지속적인 불안과 걱정, 근육 긴장, 불안으로 인한 기능 저하 등이 6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 행동 장애: 공격적이고 파괴적인 행동, 법적 문제나 사회적 관계에서의 갈등이 12개월 이상 지속될 경우.
3. DSM-5에서 부적응 행동의 평가
DSM-5는 부적응 행동을 평가할 때 심리적 평가, 행동적 관찰, 증상 체크리스트, 그리고 심리적 및 사회적 맥락을 종합적으로 고려한다. 이를 통해 개인의 부적응 행동이 얼마나 심각하게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고, 적절한 치료와 개입 방법을 제시한다.
<부적응행동의 심리평가기법>
주로 심리학적 또는 행동적 접근법을 사용하여 개인의 문제를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심리평가는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해 필수적이며, 다양한 방법과 도구가 사용된다.
1. 심리평가의 목적
심리평가는 부적응 행동의 원인을 파악하고, 개인의 심리적 상태나 행동 패턴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 수행된다.
- 부적응 행동의 진단: 부적응적인 행동이 정신 장애나 기타 심리적 문제에 의한 것인지 평가.
- 개인적 특성 파악: 성격, 스트레스 반응, 대인 관계 패턴 등을 이해.
- 치료 계획 수립: 적합한 치료 방법을 결정하고, 환자의 필요에 맞춘 개입 방법을 제시.
- 기능 평가: 부적응 행동이 개인의 사회적, 직업적, 학업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
2. 부적응 행동의 심리평가기법
2.1 면담 (Interview)
심리적 면담은 심리평가에서 가장 기본적인 기법. 면담을 통해 치료자는 내담자의 기본적인 정보와 행동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 구조화된 면담: 미리 정해진 질문 리스트를 통해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진단의 일관성을 높여준다.
- 비구조화된 면담: 자유롭게 진행되는 면담으로, 내담자가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한다.
- 반구조화된 면담: 일부 질문은 정해져 있지만, 그 외에는 자유롭게 진행되는 방식.
2.2 심리검사 (Psychological Testing)
심리검사는 개인의 정신 건강과 행동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표준화된 도구를 포함한다.
- 인지 능력 검사 (Cognitive Tests): 개인의 지적 능력, 집중력, 기억력 등을 평가. 예를 들어, WAIS(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는 성인의 지능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 성격 검사 (Personality Tests): 개인의 성격 특성이나 감정 상태를 평가. 예를 들어, MMPI-2(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와 16PF(16 Personality Factor Questionnaire) 등이 있다.
- 정서적 평가 도구 (Emotional Assessment Tools): 우울증, 불안, 스트레스 등 정서적 상태를 평가하는 도구이다. Beck Depression Inventory와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가 이에 해당한다.
2.3 행동 관찰 (Behavioral Observation)
행동 관찰은 내담자의 행동을 직접 관찰하여 부적응 행동의 특성과 빈도를 평가하는 방법이다. 관찰자는 내담자의 대인 관계, 감정 표현, 사고 패턴 등을 주의 깊게 살펴본다. 이 방법은 특히 어린이나 비언어적인 행동을 표현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다.
- 자연스러운 환경에서의 관찰: 내담자가 일상적인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하는지 확인하는 방식이다.
- 구조화된 상황에서의 관찰: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설정하여 내담자의 반응을 분석한다.
2.4 행동 분석 (Behavioral Analysis)
행동 분석은 내담자가 보이는 특정한 부적응 행동을 파악하고, 그 행동을 유발하는 자극과 결과를 분석하는 기법이다. 이를 통해 행동의 원인과 결과를 명확히 하고, 행동의 변화를 위한 개입 방법을 찾는다.
- ABC 분석: 행동(Behavior), 자극(Antecedents), " 결과(Consequences) " 를 분석하여, 부적응 행동이 어떻게 발생하고 유지되는지 확인한다.
- 행동 수정: 부적응 행동을 감소시키고, 적응적인 행동을 촉진하기 위한 기법을 사용한다.
2.5 자기 보고서 (Self-Report)
자기 보고서는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 사고, 행동에 대해 자발적으로 보고하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우울증, 불안 등과 같은 정서적 문제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예를 들어, Beck Depression Inventory(BDI)나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와 같은 자기보고식 척도들이 있다.
- 자기 보고서 설문지: 내담자가 질문에 답하면서 자신의 상태를 평가한다. 이는 정량적인 데이터로 분석될 수 있다.
- 일지 작성: 내담자가 자신의 행동, 감정, 사고를 기록하는 방식. 이 방법은 행동 패턴이나 감정 변화를 추적하는 데 유용하다.
2.6 그림 검사 (Projective Tests)
그림 검사는 내담자가 주어진 그림이나 상황을 해석하면서 무의식적인 감정이나 사고를 드러내게 하는 기법. 가장 유명한 투사 검사로는 로르샤흐 잉크블롯 검사와 Thematic Apperception Test(TAT)가 있다.
- 로르샤흐 검사: 내담자가 여러 가지 잉크 자국을 보고 그 의미를 해석함으로써 내담자의 심리적 상태를 평가.
- TAT: 그림을 보고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내담자의 내면적인 갈등이나 정서적 문제를 이해할 수 있다.
2.7 사회적 기능 평가 (Social Functioning Assessment)
부적응 행동이 사회적 관계, 직장 생활, 학교생활 등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 내담자가 대인 관계에서 겪는 어려움, 직업적 기능 문제 등을 분석하여 부적응 행동의 범위와 심각도를 파악한다.
- 사회적 지원 네트워크 분석: 내담자가 얼마나 효과적인 사회적 지원을 받고 있는지 평가한다.
- 직업적 기능 평가: 내담자의 직장에서의 성과나 대인 관계 문제를 평가한다.
3. 심리평가 결과의 활용
심리평가의 결과는 부적응 행동을 해결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된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 계획을 수립하거나, 행동 치료, 인지 치료, 약물 치료 등의 개입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평가 결과는 치료의 진행 상황을 추적하고 치료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데에도 활용다.
<생물학적 평가기법>
부적응 행동의 생물학적 평가는 주로 뇌의 기능과 신경 생리학적 상태를 평가하여, 부적응 행동이나 정신적 문제의 원인과 관계를 파악하려는 접근법이다. 생물학적 평가 기법은 유전적 요인, 호르몬 변화, 뇌의 구조적 및 기능적 특성 등을 기반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신경학적 이상이나 화학적 불균형이 부적응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1. 부적응 행동의 생물학적 평가의 목적
- 신경학적 원인 분석: 부적응 행동이나 정신적 증상에 대해 뇌의 특정 부분이나 신경전달물질의 역할을 규명한다.
- 약리학적 치료 계획 수립: 생물학적 평가 결과에 기반해 약물 치료가 필요한 경우,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 유전자 분석: 유전적 요인이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유전자 기반의 개인 맞춤형 치료를 개발할 수 있다.
- 호르몬과 생리적 요인 파악: 호르몬 불균형이나 생리적 요인이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2. 부적응 행동의 생물학적 평가 기법
2.1 뇌 영상 기법 (Neuroimaging Techniques)
뇌 영상 기법은 뇌의 구조적 및 기능적 상태를 시각적으로 평가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이 기법들은 부적응 행동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뇌의 이상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
-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 Functional MRI):
- fMRI는 뇌 활동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 기법은 뇌의 특정 부위가 활동하는 동안 부적응 행동이 나타나는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울증이나 불안 장애와 관련된 뇌 영역의 활성화를 평가할 수 있다.
- 전산화단층촬영(CT, Computed Tomography):
- CT 스캔은 뇌의 구조적 이상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뇌의 손상이나 신경계의 이상(예: 뇌출혈, 종양)을 확인하는 데 유용하다.
- 자기공명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 MRI는 뇌의 구조를 상세하게 촬영하여, 부적응 행동과 관련된 뇌의 크기나 형태 변화를 평가한다. 예를 들어, 우울증이나 조현병 등의 질환에서 뇌의 특정 부위(예: 해마)의 위축을 관찰할 수 있다.
-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PET 스캔은 뇌의 대사 활동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신경전달물질의 활동을 분석할 수 있어, 부적응 행동을 유발하는 뇌의 화학적 불균형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2.2 EEG (뇌파 검사, Electroencephalogram)
- EEG는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여 뇌파 패턴을 평가한다. 이 기법은 뇌의 전반적인 기능을 측정하고, 뇌파의 비정상적인 패턴을 찾아내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간질이나 불안과 관련된 비정상적인 뇌파 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 EEG는 또한 신경과민성, 불안, 스트레스와 관련된 뇌파 변화(알파파, 세타파 등)를 관찰하여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2.3 혈액 및 호르몬 검사
부적응 행동은 때때로 호르몬 불균형이나 화학적 불균형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호르몬 검사를 통해 이러한 생리적 요인을 평가할 수 있다.
- 호르몬 수치 검사:
- 부적응 행동이 호르몬의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와 관련된 호르몬인 코르티솔 수치나 우울증과 관련된 세로토닌, 도파민 등의 신경전달물질 수치를 평가할 수 있다.
- 갑상선 기능 검사:
- 갑상선 호르몬은 기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갑상선 기능의 이상은 우울증이나 불안과 연관될 수 있다.
- 신경전달물질 수치 측정:
- 세로토닌,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수치를 측정하여 부적응 행동의 화학적 원인을 평가할 수 있다. 불안 장애나 우울증과 관련된 불균형을 확인할 수 있다.
2.4 유전자 검사
유전자 검사는 부적응 행동의 유전적 원인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특정 유전자가 정신 질환이나 부적응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 유전자 분석:
- 예를 들어, 우울증이나 조현병과 관련된 유전자를 분석하여 유전적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다. 5-HTTLPR 유전자는 세로토닌 수용체와 관련이 있으며, 우울증의 발병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유전자 마커 연구:
- 다양한 정신질환에서 특정 유전자 변이를 찾고 이를 기반으로 한 개인화된 치료 접근을 개발할 수 있다.
2.5 신경화학적 평가 (Neurochemical Assessment)
- 신경전달물질 검사:
- 뇌에서 신경세포 간의 신호 전달을 담당하는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은 부적응 행동과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도파민, 세로토닌, GABA,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불균형이 우울증, 불안, 충동성 장애 등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 약물 반응 검사:
- 약물 치료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신경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약물 반응을 예측하고, 치료에 적합한 약물을 선택할 수 있다.
2.6 뇌파 자극 검사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TMS)
TMS는 비침습적 뇌 자극 기술로, 특정 뇌 영역에 자극을 주어 뇌의 활동을 조절하는 기법. 이 방법은 주로 우울증 치료에 사용되지만, 부적응 행동을 치료하는 데에도 유용할 수 있다.
- TMS를 통해 뇌의 특정 부위의 활성화나 억제를 유도하여 우울증, 불안과 같은 부적응 행동에 대한 반응을 평가하고, 이를 치료 계획에 반영할 수 있다.
3. 생물학적 평가의 결론 및 치료적 활용
생물학적 평가는 부적응 행동의 원인을 깊이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정확한 진단: 신경학적 원인이나 생리적 요인을 파악하여, 정신 질환이나 부적응 행동의 원인을 명확히 진단.
- 개인 맞춤형 치료: 약물 치료를 포함한 개인화된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한 약물 처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 호르몬 및 신경화학적 조절: 호르몬 불균형이나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을 개선하기 위한 치료가 포함될 수 있다.
'방송대사회복지★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3강 정리 -2 (5) | 2024.12.25 |
---|---|
[사회복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3강 정리 - 1 (25) | 2024.12.24 |
[사회복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2강 정리 -3 (14) | 2024.12.22 |
[사회복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2강 정리 -2 (26) | 2024.12.21 |
[사회복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12강 정리 -1 (6) | 2024.12.20 |